전체 글 (301) 썸네일형 리스트형 미국 장기채권에 투자해야하는 이유 안녕하세요 서른일기입니다. 여러 매크로 지표에서보면 경기침체가 올수밖에 없는 조건들을 많이 갖추고있는 상황인데 침체가 미뤄지고 미뤄지다보니 여기까지 증시는 랠리를 하면서 어느새 나스닥은 선물기준으로 1만 7천 다우느 3만8천을 넘겼고 S&P500은 4900을 넘어가면서 올해안에 S&P기준으로 5000을 넘을수도있을거같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그럼에도 사람들이 주식시장에 마음놓고 들어가지 못하는 이유들이 있죠. 갑자기 내가 들어갔을때 주가가 폭락하면 정말 슬프기때문에 그렇습니다. 저도 그런 이유로 증시의 랠리가 건강하다고 생각하지 않아서 주식비중은 아애 없는 상황입니다. 현재는 채권으로 단기채 장기채를 비율적으로 가져가고 있는 상황입니다. 우선 오늘은 경기침체가 곧 올수밖에 없는 이유를 한번 이야기해보면 좋.. 24년은 채권투자의 해!? TLT TMF 미국 장기채권 투자시 유의사항 안녕하세요.우선 채권투자자들이라면 당연히 봐야하는것에 물가에 대한 안정과 듀레이션이 긴 TLT나 TMF 같은 상품에 비중을 많이 싫었다는 이야기는 심각한 경착륙이 오면서 미국 GDP가 많이 꺾이고 글로벌한 경제자체의 심각한 타격이 와야 국채로서의 안전자산 역할을 톡톡하게 할수 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은 이에 따라 듀레이션이 긴 국채를 포트폴리오에 편입시키고 있죠. 현시점을 한번 복기해보면 10년물 금리는 과도하게 내려온 이후 실업률과 임금상승률 등에 대한 경기지표 그리고 예멘 후티 정규군의 홍해 미간 상선을 타격하면서 컨테이너선이 20% 감소되었고, 그에 따른 홍해를 건널수없는 상선들이 아프리카 남단으로 우회하기 시작하면서 연료와 보험료가 당연히 급증하고 한컨테이너당 1000달러가 할증이 되죠. 또한 업.. 미국 GDP는 앞으로 계속 좋을까? 안녕하세요 서른일기입니다. 미국의 4분기 GDP가 발표가되었고, 시장은 환호했습니다. 우선 속보치로 나온거니까 앞으로 3월까지는 기다려봐야 확정치가 나오는데 확실히 미국의 경기는 역시 강했죠. 가볍게 컨센서스 2%를 3.3%로 상회하면서 엄청난 성장을 이뤄내고 있습니다. IRA 이후에 많은 반도체 기업들이 미국으로 들어가서 설비투자를 하고 있는 상황과 너무 궁금해봐서 보니까 개인 소비가 2.8로 굉장히 구성비율에서 높은걸 알수가 있죠. 미국의 GDP가 잘 나온거같지만 막상 표면적으로는 그래보이는듯 실제로 안쪽까지 뜯어보면 미국의 잘나온 경기성장률은 그렇지가 않습니다. 미국 GDP에서는 구성요소 네가지 개인소비지출, 민간 국내 총투자, 순수출(수출- 수입) 정부소비지출 및 총투자 이 네가지 요소중에 개인소.. 이전 1 ··· 97 98 99 100 101 다음